헤드헌팅 업무를 혁신하는 자동화 운영 설계: KPI·OKR 기반 성장형 리크루팅 시스템 구축

개요

이 영상은 Notion과 Make.com을 활용하여 구축된 채용 CRM/ATS 시스템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개선하는 과정을 다룹니다. 주요 논의 내용은 Make.com 자동화 시나리오 오류 수정, JD 발송 및 후보자 추천 프로세스 최적화, Solapi를 이용한 알림톡 발송 문제 해결, 그리고 KPI 측정을 위한 대시보드 구조 설계 및 OKR 연동 방안입니다. 실제 사용자의 피드백을 바탕으로 시스템의 실용성을 높이고, 업무 효율성을 개선하기 위한 구체적인 해결책과 구현 방법을 단계별로 심층 분석하고 적용하는 과정을 보여줍니다.

주요 학습 포인트

Notion과 Make.com을 이용한 맞춤형 CRM/ATS 시스템 구축 및 디버깅 실무
자동화 시나리오 설계 시 발생 가능한 오류 유형 및 해결 방법 (날짜 처리, 조건 분기, 외부 서비스 연동)
사용자 피드백 기반 워크플로우 개선 방안 도출 및 적용 (선택적 알림 발송, 상태 관리 자동화)
Solapi 연동 시 변수 전달 문제 해결 및 템플릿 검증 방법
채용 KPI 대시보드 설계 (일간/주간/월간/분기/연간 데이터 구조화 및 지표 정의)
Notion 데이터베이스 템플릿 활용 시 데이터 구조화의 제약 및 대안 모색

요약

1. 자동화 점검 및 초기 문제 식별

주제: 프로젝트 재개 및 초기 자동화 상태 점검
핵심 요점:
1.
자동화 상태 확인: 월/평일마다 동작해야 하는 '데일리 리포트 날짜 입력 자동화' Make.com 시나리오가 5월 1일 이후로 멈춘 것을 확인했습니다.
2.
오류 원인 파악: 시나리오 실행 기록 확인 결과, 특정 날짜 데이터(5월)에 '주차'는 존재하지만 '월' 정보가 누락된 예외 케이스가 발생하여 시나리오가 멈춘 것으로 추정됩니다.
3.
긴급 조치: 누락된 월 데이터를 수동으로 생성하여 5월 데일리/위클리 리포트 생성을 재개했습니다.
부가 설명:
주차 정보는 있지만 월 정보가 없는 데이터 케이스는 예상치 못한 오류 상황으로, 데이터 정합성 확인 로직 보강의 필요성을 시사합니다.
중요 참고사항:
자동화 시나리오는 얘기치 못한 데이터 예외 케이스에 대비한 오류 처리 로직이 중요합니다.

2. CRM/ATS 워크플로우 문제점 논의

주제: 현재 운영 중인 CRM/ATS 시스템의 주요 문제점 공유
핵심 요점:
1.
상태 변경 오류: 'JD 발송' 버튼 클릭 시 상태가 '발송중'으로 변경되지 않거나, '서류 합격' 버튼 클릭 시 후보자 리스트에서 해당 후보자가 제거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2.
버튼 로직 오류: '이력서 추천 진행' 버튼 클릭 후 'CV 발송' 버튼으로 변경되어야 하나, 해당 기능이 구현되지 않았거나 작동하지 않습니다. (추후 확인 결과, '이력서 추천 진행' 버튼은 날짜 자동 입력 기능만 담당하는 것으로 정정됨)
3.
알림톡 정보 누락: Solapi를 통해 발송되는 알림톡(예: 1차 인터뷰 확정 안내)에서 회사명, 포지션명 등의 중요 정보가 누락되어 빈 칸으로 발송되는 문제가 있습니다.
부가 설명:
이 문제들은 실제 사용자(직원)들이 시스템을 사용하지 못하게 하는 주요 원인이므로 우선적으로 해결 필요성이 제기되었습니다.
더미 데이터 테스트 과정에서 발견된 문제점으로, 실제 운영 전 철저한 테스트의 중요성을 보여줍니다.

3. JD 발송 워크플로우 테스트 및 개선 방안 모색

주제: JD 발송 기능 테스트 및 대량 처리, 선택적 메일 발송 요구사항 논의
핵심 요점:
1.
JD 발송 프로세스 시연: 후보자(이바보)를 특정 프로젝트(커리어플랜 헤드헌터)에 연결하고 'JD 발송' 버튼을 클릭하는 과정을 시연했습니다.
2.
현재 로직 확인: 현재는 버튼 클릭 시 담당자(회사 내부 직원) 이메일로 JD 초안 메일이 발송되고, 후보자 상태 변경 및 데일리 리포트(CV 발송 항목)에 기록됩니다.
3.
개선 요구사항: 실제로는 여러 후보자에게 동시에 JD를 보내는 경우가 많으며, 이 때 모든 후보자에게 개별 메일을 발송할 필요는 없고 상태 변경 및 KPI 기록만 필요한 경우가 있습니다. 현재 방식은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습니다.
4.
해결 방안 제안: 후보자 목록 옆에 '메일 발송' 체크박스를 추가하여, 체크된 후보자에게만 메일을 발송하고, 체크되지 않은 후보자는 메일 발송 과정 없이 상태 변경 및 KPI 기록만 처리하도록 Make.com 시나리오를 분기하는 방안을 제안했습니다.
부가 설명:
Make.com 시나리오 실행 시간을 단축하고(20-30초 -> 5초 이내 목표),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개선입니다.
중요 참고사항:
사용자의 실제 업무 패턴(대량 처리)을 고려하여 시스템 워크플로우를 설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4. JD 발송 '메일 발송' 체크박스 기능 구현 및 테스트

주제: JD 발송 시 선택적 메일 발송 기능 구현 및 검증
핵심 요점:
1.
Notion 속성 추가: 후보자 데이터베이스에 '메일 발송' (체크박스 타입) 속성을 추가하고, 설명을 통해 기능(체크 시 JD 초안 메일 발송)을 명시했습니다.
2.
Make.com 시나리오 수정: 'JD 발송' 버튼 트리거 시, '메일 발송' 체크박스 상태를 확인하는 필터를 추가했습니다.
체크된 경우: 기존 로직대로 메일 발송 모듈 실행 후 상태 변경 및 데일리 리포트 연동.
체크 해제된 경우: 메일 발송 모듈을 건너뛰고 바로 상태 변경 및 데일리 리포트 연동.
3.
테스트: '이바보'(체크 O)와 '김천재'(체크 X) 후보자를 대상으로 테스트하여, '이바보'에게만 메일이 발송되고 두 후보자 모두 상태 변경 및 데일리 리포트에 정상적으로 기록됨을 확인했습니다.
4.
사용자 경험 개선: 버튼 클릭 시 즉시 완료 메시지 대신, 실제 처리가 완료될 때까지 로딩 상태를 보여주고 완료 후 확인 메시지(팝업)를 표시하도록 개선했습니다. (Make.com Webhook Response 활용)
확인 메시지에는 어떤 후보자에 대한 작업인지 명확히 알 수 있도록 후보자 이름을 동적으로 표시 (@멘션 기능 활용).
부가 설명:
Notion의 @멘션 기능을 활용하여 페이지 속성 값을 메시지에 동적으로 삽입할 수 있습니다.
중요 참고사항:
Make.com에서 Webhook 응답(Response) 모듈을 사용하면, 시나리오 처리 완료 시점에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주어 비동기 작업의 진행 상태를 명확히 알릴 수 있습니다.

5. '이력서 추천 진행' 버튼 기능 확인

주제: '이력서 추천 진행' 버튼의 기능 검증 (추천 날짜 자동 입력)
핵심 요점:
1.
기능 문의: '이력서 추천 진행' 버튼 클릭 시, 추천 날짜가 자동으로 입력되기를 기대했으나 현재 수동 입력 상태인지 확인 요청했습니다.
2.
기능 검증: 실제 버튼 클릭 시연 결과, 버튼 클릭 후 실행되는 Make.com 시나리오가 완료되면 해당 후보자의 '추천 날짜' 속성에 오늘 날짜가 자동으로 입력되고, 후보자는 해당 리스트에서 사라지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3.
확인 메시지 개선: JD 발송과 마찬가지로, 버튼 클릭 확인 메시지에 해당 후보자 이름이 동적으로 표시되도록 수정했습니다.
부가 설명:
초기 문제 제기 시 언급된 'CV 발송 버튼으로 변경' 기능은 해당 버튼의 역할이 아닌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6. 알림톡(Solapi) 정보 누락 문제 분석 및 원인 파악

주제: Solapi 알림톡 발송 시 회사명/포지션명 누락 문제 심층 분석
핵심 요점:
1.
문제 재확인: 1차 인터뷰 확정 안내 등 알림톡 발송 시, "[회사명] [포지션명]" 부분이 비어있는 상태로 수신되는 문제를 재확인했습니다. (카카오톡 메시지 확인)
2.
데이터 흐름 추적: Make.com 시나리오에서 해당 정보를 후보자(CV) 데이터 또는 프로젝트(Project) 데이터에서 가져오는 부분을 확인했습니다.
3.
근본 원인 식별: 알림톡 발송 시 참조하는 프로젝트 데이터베이스의 '프로젝트 타이틀'(포지션명) 필드가 비어있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이 값이 없기 때문에 알림톡으로 전달되지 못하는 것입니다.
4.
'프로젝트 타이틀' 입력 방식 논의: 원래는 JD 파싱 시 SEO 최적화된 제목을 자동으로 파싱하여 입력하기로 계획했으나, 현재 해당 기능의 퀄리티 문제 또는 미구현으로 인해 수동 입력이 필요한 상태입니다.
부가 설명:
구글 Gemini 1.5 Pro 및 Perplexity AI 소개 (Side Track): 발표자가 최근 사용해 본 AI 도구(Gemini 1.5 Pro 요약 기능, Perplexity AI 슬라이드 생성 기능)의 뛰어난 성능을 잠시 소개하며 관련 경험을 공유했습니다.
중요 참고사항:
자동화 시스템에서 데이터 누락은 연쇄적인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데이터 생성 및 입력 단계의 정확성과 완전성이 중요합니다.
외부 서비스(Solapi) 연동 시, 전달하는 데이터 필드와 해당 필드의 값이 정확히 채워져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7. 알림톡(Solapi) 문제 해결 및 추가 개선 논의

주제: Solapi 알림톡 문제의 임시 해결 및 추가 개선 요구사항 논의
핵심 요점:
1.
임시 조치: 테스트를 위해 문제가 된 프로젝트의 '프로젝트 타이틀'을 수동으로 입력했습니다. (예: "헤드헌팅 팀장")
2.
재 테스트 및 불일치 발견: 프로젝트 타이틀 입력 후 알림톡 재발송 테스트 결과, 포지션명("헤드헌팅 팀장")은 정상적으로 표시되었으나, 회사명("커리어플랜")은 여전히 누락되었습니다. 그러나 이후 다른 테스트(1차 인터뷰 확정 안내)에서는 회사명이 정상적으로 표시되는 불일치 현상이 발견되었습니다.
3.
추후 확인 필요: 회사명 누락 문제의 정확한 원인(Make 시나리오 로직 오류, Notion 데이터 불일치 등)은 추가적인 확인이 필요한 상태로 남겨두었습니다.
4.
선택적 알림 발송 요구 (1차 인터뷰): JD 발송과 유사하게, 1차 인터뷰 안내 시에도 알림톡 발송이 필요 없는 경우(예: 해외 거주 후보자)를 위해, 알림톡 발송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기능(예: 체크박스) 추가를 요청했습니다.
5.
KPI 연동 시점 논의: 인터뷰 관련 KPI(데일리 리포트 연동)는 단순히 상태 변경 시점이 아니라, 실제 인터뷰 안내가 발송되거나 확정되는 시점에 카운팅되어야 함을 명확히 했습니다.
부가 설명:
서류 합격 단계에서는 별도의 알림 발송 없이 상태만 변경됩니다.
인터뷰 일정 확정 시 KPI 카운팅 및 데일리 태스크(리마인드 콜 등) 연동 필요성이 제기되었습니다.
중요 참고사항:
시스템 디버깅 시, 문제 재현의 일관성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불일치 현상은 잠재적인 다른 오류를 시사할 수 있습니다.

8. 인터뷰 안내 선택적 알림 기능 구현

주제: 1차 및 2차 인터뷰 안내 시 선택적 알림톡 발송 기능 구현
핵심 요점:
1.
'정보 차단' 속성 추가: 후보자(CV) 데이터베이스에 '정보 차단 (1차)', '정보 차단 (2차)' 체크박스 속성을 추가했습니다. 체크 시 해당 단계의 알림톡/이메일 발송을 차단하는 기능입니다.
2.
Make.com 시나리오 수정:
'1차 인터뷰 일정 안내', '2차 인터뷰 일정 안내' 버튼 트리거 시, 해당 단계의 '정보 차단' 체크박스 상태를 확인하는 필터를 추가했습니다.
체크 해제된 경우: 알림톡/이메일 발송 모듈 실행 후 상태 변경, KPI 연동(데일리 리포트 관계 맺기), '발송 완료' 상태 업데이트.
체크된 경우: 알림톡/이메일 발송 모듈을 건너뛰고 상태 변경 및 '발송 완료' 상태 업데이트만 수행 (KPI 연동 X).
3.
'발송 완료' 상태 변경: 기존의 체크박스 대신 '발송 상태' (선택 속성: 발송 전, 발송 완료 등)를 사용하여 상태를 명확히 관리하도록 변경했습니다. (단, 영상에서는 최종적으로 체크박스로 유지된 후, 나중에 상태 속성으로 변경 제안)
4.
Solapi 템플릿 업데이트: 최신 승인된 Solapi 템플릿("인터뷰 일정이 확정되었습니다")으로 Make 시나리오를 업데이트했습니다.
5.
테스트: '정보 차단' 체크/해제 시 알림톡 발송 여부 및 '발송 완료' 상태 업데이트, KPI 연동 여부를 확인했습니다. 회사명 누락 문제는 여전히 간헐적으로 발생했습니다. (1차는 누락, 2차는 정상 발송 확인)
6.
이메일 알림 확인: 인터뷰 확정 시 이메일 알림도 함께 발송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부가 설명:
Make.com 시나리오 마지막에 Webhook Response 모듈(status 200)을 추가하여, 버튼 클릭 후 시나리오가 완전히 종료될 때까지 로딩 상태를 유지하고 성공 시 피드백을 주는 사용자 경험 개선을 적용했습니다.
중요 참고사항:
여러 단계에 걸쳐 유사한 기능(선택적 알림)이 필요할 경우, 일관된 방식으로 속성명과 로직을 설계하는 것이 유지보수에 유리합니다.

9. KPI 대시보드 설계 및 구조 논의

주제: Daily/Weekly/Monthly/Yearly 리포트 구조 및 KPI 측정 방식 논의
핵심 요점:
1.
리포트 구조 확인: 데일리 리포트에는 콜리스트, 미팅, 태스크 등이 기록되며, 이 데이터는 위클리, 먼슬리, 이어리 리포트와 연동되어 집계됩니다.
2.
데이터 관계 설정: 데일리 리포트의 데이터(콜, 미팅, CV 발송, 인터뷰 등)는 해당 담당자 및 날짜(주차, 월, 년도) 정보와 함께 상위 리포트로 관계가 맺어집니다.
3.
KPI 측정 방식 정의:
각 KPI 항목(BD 콜, 클라이언트 미팅, CV 샌딩, 1차 인터뷰, 2차 인터뷰)은 가중치 없이 **단순 개수(Count)**로 측정합니다.
Task는 KPI 측정 대상에서 제외하고, 수행 내용 기록 용도로만 사용합니다.
4.
KPI 항목 명칭 정의:
콜: BD 콜 (BD Call)
미팅: 클라이언트 미팅 (Client Meeting)
JD 발송 완료 -> 변경: CV 샌딩 (CV Sending) 또는 후보자 추천
1차 인터뷰, 2차 인터뷰: 각각 명칭 유지
5.
데일리 리포트 구조 단순화: 초기 설계에 있던 '컴퍼니' 관계는 데일리 리포트에서 불필요하다고 판단하여 제거했습니다. (CV 데이터나 콜리스트 등에서 회사 정보 확인 가능)
부가 설명:
주차(Week)는 월(Month) 경계와 정확히 일치하지 않으므로, 데일리 데이터는 위클리 및 먼슬리 리포트 양쪽에 모두 관계가 맺어지는 구조를 사용합니다.
중요 참고사항:
KPI 측정 방식(개수 vs 가중치)과 대상 항목을 명확히 정의하는 것은 대시보드 설계의 핵심입니다.

10. 일일 업무(Task) 관리 방식 구체화

주제: 데일리 리포트 내 시간대별 업무(Task) 기록 및 관리 방안 설계
핵심 요점:
1.
요구사항: 담당자가 하루 업무를 시간대별(예: 9-10시, 10-11시 등)로 계획하고 기록하며, 이 내용을 데일리 리포트에서 확인하고 싶어합니다.
2.
구현 방안 제안:
별도의 'Tasks'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합니다.
데일리 리포트 페이지 내에 '테스크 생성' 버튼을 만듭니다.
버튼 클릭 시, 해당 날짜와 담당자가 자동으로 입력되고, 미리 정의된 시간대(9-10, 10-11, ..., 17-18)별로 8개의 Task 항목이 Tasks DB에 생성됩니다. (시간 범위 자동 설정 기능 활용)
데일리 리포트 페이지에는 'Tasks' DB의 링크된 데이터베이스(Linked Database)를 삽입하고, 해당 날짜의 Task만 필터링하여 보여줍니다.
3.
Task 관리: 생성된 시간대별 Task 항목에 담당자가 실제 수행할 업무 내용을 기입하고, 상태(시작 전, 진행 중, 완료)를 변경하며 관리합니다.
4.
시각화: 타임라인 보기(Timeline View) 등을 활용하여 시간대별 업무 계획 및 진행 상황을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부가 설명:
Task 항목 자체는 KPI로 직접 카운트하지는 않지만, 업무 계획 및 회고 용도로 활용됩니다.
Notion의 버튼 기능을 활용하여 반복적인 데이터 생성을 자동화할 수 있습니다.
날짜/시간 범위 자동 계산을 위해 Notion 함수(formula)가 사용됩니다.
중요 참고사항:
링크된 데이터베이스와 필터 기능을 활용하면, 중앙 집중식 데이터(Tasks DB)를 다양한 컨텍스트(각 데일리 리포트)에 맞게 표시할 수 있습니다.

11. OKR/KPI 연동 및 주간 목표 설정 방식 논의

주제: 일일 업무(Task)와 상위 목표(OKR/KPI) 연동 방식 및 주간 단위 목표 설정/측정 방법 논의
핵심 요점:
1.
헤드헌팅 OKR 구조:
궁극적인 목표(Objective): 매출 달성 (Success Fee 기준)
핵심 결과(Key Results): CV 발송 수, 인터뷰 진행 수, BD 콜 수, 클라이언트 미팅 수, 신규 고객 확보 수 등 (측정 가능한 활동 지표)
2.
Task와 KR 연동 방식:
일일 Task 자체에 목표치(Goal)와 달성치(Complete)를 기록하는 것은 가능하나, 이는 주로 담당자의 계획 수립 및 인식 개선(Training) 목적으로 활용합니다.
실제 KR 달성률 측정은 Task 단위가 아닌, 주간(Weekly) 리포트에서 집계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합니다.
3.
주간 리포트 목표 설정:
위클리 리포트에 각 KPI 항목별 '목표'(Target) 필드를 추가합니다. (예: BD콜 목표, CV 목표 등)
주간 목표는 담당자별로 설정되며, 필요에 따라 주 단위로 수정될 수 있습니다. (수동 입력)
4.
주간 리포트 달성률 계산:
'달성'(Achieved) 값은 데일리 리포트에서 롤업(Rollup)되거나 관련 DB(ATS, Company) 상태 변경을 카운트하여 자동으로 집계됩니다.
'달성률'(%)은 (달성 값 / 목표 값) * 100으로 계산됩니다.
5.
신규 고객 KPI 측정: Company DB의 고객 등급(Grade)이 특정 단계(예: 2번 이상)로 변경된 시점을 기준으로 주간 '신규' KPI를 카운트합니다. 이는 위클리 리포트에서 직접 관계를 맺어 추적합니다.
부가 설명:
일일 Task의 목표 설정은 개인의 성과 평가에 직접 반영되지 않으며, 주간/분기/연간 단위의 실제 KPI 달성률이 더 중요하게 관리됩니다.
이 방식은 OKR의 기본 철학(상위 목표와 연계된 측정 가능한 결과 추적)을 따르면서도, 일일 업무 관리의 복잡성을 줄이는 절충안입니다.
중요 참고사항:
OKR/KPI 시스템 설계 시, 측정 지표, 목표 설정 단위(일/주/월/분기/연), 데이터 집계 방식, 목표 설정 주체 등을 명확히 정의해야 합니다.

12. 월간/분기별 리포트 및 최종 목표 연동 논의

주제: 월간 및 분기별 리포트 구성 및 연간 목표와의 연동 방안
핵심 요점:
1.
월간 리포트 제약: 주차와 월의 경계 불일치로 인해, 위클리 리포트의 목표/달성률을 월간 리포트로 정확히 롤업하기 어렵습니다.
2.
월간 리포트 구성 방안:
'달성' 값: 데일리 리포트 데이터를 월 단위로 직접 집계하여 표시합니다.
'목표' 값: 연간 목표를 12로 나누어 월별 목표로 설정하거나, 별도로 월간 목표를 설정합니다. (연간 목표 기반 자동 계산 제안)
달성률 계산 가능.
3.
분기 리포트:
인센티브 정산 등 분기별 실적 집계가 중요합니다. (1, 2, 3월 실적 합산 -> 1분기)
분기 마감일(예: 3월 31일) 기준으로 정확한 집계가 필요합니다.
구현 방안: 월간 리포트 데이터를 합산하여 분기 리포트를 생성하는 별도의 자동화 시나리오(Make.com)를 구현합니다. (예: 4월 2일경 1분기 리포트 자동 생성)
4.
연간 목표 (매출):
최종 목표인 매출(Success Fee)은 후보자 출근 예정일 기준으로 집계됩니다.
CV(후보자) 데이터베이스의 '수수료' 및 '출근 예정일' 속성값을 활용하여 연간/분기별 실적을 추적합니다.
부가 설명:
리포트 계층 구조(Daily -> Weekly -> Monthly -> Quarterly -> Yearly)를 설계할 때, 각 단계별 데이터 집계 방식과 목표 설정 방식을 명확히 정의해야 합니다.
중요 참고사항:
Notion의 기본 롤업 기능만으로는 복잡한 기간별 집계(특히 주-월 불일치)에 한계가 있을 수 있으며, Make.com 등 외부 자동화 도구를 활용하여 해결할 수 있습니다.

13. Notion 템플릿 내 데이터 구조화 문제

주제: 회사(Company) 페이지 템플릿 내 조직도 정보 구조화 시도 및 제약 사항 확인
핵심 요점:
1.
요구사항: 각 회사 페이지 내에 해당 회사의 조직 구조(부서, 인원 등)를 표 형식으로 입력하고 관리하고 싶어합니다. 이를 Notion 페이지 템플릿에 구현하려고 시도했습니다.
2.
문제 발생: 템플릿 내에 데이터베이스(인라인)를 생성하여 조직도 형식을 만들었더니, 특정 회사 페이지에서 내용을 업데이트하면 템플릿 자체 또는 다른 회사 페이지의 조직도까지 함께 변경되는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3.
Notion 제약 설명:
템플릿 내에 데이터베이스를 직접 생성하면, 이는 모든 템플릿 인스턴스에서 공유되는 하나의 동일한 데이터베이스가 됩니다. 따라서 한 곳에서 수정하면 다른 모든 곳에 반영됩니다.
각 페이지(회사)마다 독립적인 표 데이터를 가지려면,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는 대신 **표준 블록(텍스트, 토글 등)**을 사용하거나, 혹은 별도의 '조직 구조' 데이터베이스를 만들고 관계형(Relation) 속성으로 연결하는 방식을 사용해야 합니다.
부가 설명:
템플릿은 페이지의 초기 구조를 제공할 뿐, 템플릿 내에 삽입된 데이터베이스는 해당 템플릿을 사용하는 모든 페이지에서 공유됩니다.
중요 참고사항:
Notion 템플릿을 활용하여 구조화된 정보를 관리할 때, 데이터베이스와 일반 블록의 동작 방식 차이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각 페이지별 독립적인 데이터는 일반 블록이나 관계형 속성을 활용하는 것이 적합합니다.

14. 마무리 및 다음 단계

주제: 논의된 내용 정리 및 다음 회의 일정 조율
핵심 요점:
1.
대시보드 설계 완료: KPI 측정 및 리포트 구조(Daily/Weekly/Monthly/Quarterly/Yearly)에 대한 설계를 확정했습니다.
2.
다음 작업: 내일 회의에서 오늘 설계한 대시보드 구조를 Notion과 Make.com을 통해 실제로 구현하고, 이후 TRM(Talent Relationship Management) 관련 내용으로 넘어갈 예정입니다.
3.
회의 일정: 내일 오후 1시에 회의를 재개하기로 합의했습니다.